통신비 지원금 받는 방법
통신비 지원금 총정리
통신비는 일상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고정지출 항목입니다. 정부와 지자체는 정보 접근권 보장과 가계 부담 완화를 위해 일정 대상자에게 통신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2025년 기준으로 시행되고 있는 통신비 지원 정책을 정리해드립니다.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통신요금 지원
- 지원 대상: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
- 지원 내용: 월 최대 26,000원 한도 내 기본료 지원 + 음성 및 데이터 요금 감면
- 신청 방법: 통신사 대리점 방문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, 정부24(www.gov.kr) 온라인 신청
- 필요 서류: 신분증, 수급자 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
장애인, 국가유공자, 노인 대상 통신비 감면
대상자 | 지원 내용 |
---|---|
등록 장애인 | 기본요금 면제 또는 음성 통화 50~100% 감면 |
국가유공자 | 월 13,200원 내외 통신요금 감면 (등급별 상이) |
65세 이상 노인 | 일부 지자체에서 자체 통신비 지원금 운영 |
청년 및 청소년 통신비 지원 (지자체별)
- 서울시: 청년통신비 바우처 (월 1만 원, 최대 6개월)
- 부산시: 청년 기초생활 청년통신비 감면 (만 18~34세 청년 대상)
- 기타 지자체: 지역별 복지포털 또는 주민센터 통해 확인 필요
통신비 감면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신청 가능
- 방문 신청: 통신사 대리점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- 자동 연계: 기초생활수급자로 등록 시 통신사에 자동 적용되기도 함
- 지원 방식: 매월 통신요금 청구 시 자동 차감
통신사별 복지 요금제 혜택
SK텔레콤
- T안심요금제, T스마트복지요금제 운영
- 유심비 면제 프로모션 운영 중
KT
- 복지요금제 운영 및 기기 할인 제공
- 인터넷 결합 시 추가 요금 감면
LG U+
- U+복지할인 요금제 운영
- U+복지카드와 연계 시 혜택 확대
주의할 점
- 통신비 지원은 연 1회 또는 일정 기간 기준으로 갱신되므로 정기적인 자격 확인 필요
- 지자체 지원은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음
- 모든 혜택은 각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주민센터에서 상세 확인 가능
관련 링크 안내
- 복지로: https://www.bokjiro.go.kr
- 정부24: https://www.gov.kr
- SK텔레콤 고객센터: 114 (휴대폰에서 무료)
- KT 고객센터: 100
- LG U+ 고객센터: 101
댓글